Founding Chairman, Captain Shin Yong-Wook (신용욱) of Korean National Airlines

Captain Shin Yong-Wook (신용욱)

Captain Shin Yong-Wook (신용욱) of Korean National Airlines (KNA) was the first (commercial cargo and passenger) air carrier in Korea.

My grandfather, Founding Chairman, Captain Shin Yong-Wook (신용욱) of Korean National Airlines (KNA), the first commercial cargo and passenger air carrier in Korea, established in 1946. (My mother’s side.)

Nice! That was my grandfather.

I come from a very aristocratic background. Grandfather(S) … BOTH!  Background of my father line, here you go: Min Family Estates. I will get some audio feed as well (soon!). Now, back to my mother background.

Ok, here my rant and rave about all the things my Grandfather did. He was “The Man”. He had vision and innovative mind. He could look and say “I want be among the skys.” Not an easy thing to say, and Korea (pre-war and poverty stricken), caught between Japan and China (hence the “Hermit Nation”)…

and he did it!

He built the first airlines of Korea. Daaammm! You go, Granddad!!! 🙂 🙂

Then there was this War came. Korean War. It was hell. (For information of this war, hundreds of Korea War sites exists. Check it out. Korea War (Wikipedia))

Turmoil and heartache happened. My grandfather was the most powerful man in Korea at the time (according to my mother. haha). I will make a book… podcast… or whatever… about it. But connections we made all to the Chaebol(s) and government of Korea all remain. Anyway… some stuff happens…blah, blah, blah… and crazy sh#t …blah, blah… and…

I want to get in to the airport. That is it (for now).

Mom has been try it for a while (while alive). No good. They had tried blockage it for a while. A bust. Captain Shin Yong-wook to the founder of the airport – they said “No.”. Hell, he had Aviation Day was set on October 30. I don’t know about that (whether he killed himself or not. It was all of crazy time itself.)

We are still in a fight with KNA in order to get my grandfather statue of head at the airport and well some stuff. Mom wanted it done… I’ll get done. You watch… I’ll get it done.

(I got to find the stuff on Ewha University… and had to a tons of stuff and pictures at Ewha. Big opening ceremony and everything. Shoot! Where is that stuff?? This list is getting long.)

They tried to make a movie of it. The script done and everything – It was sci-fi, inspired by or based on my grandfather. Dad wants to make it a documentary. I don’t care. I just want to see it done.

I’ll guess I gotta find it. Tons of stuff and I got to look over. Argh.

——

Yay! I found it!!

Kyunggi Museum event!

I got them! Ha! (Founding Chairman, Captain Shin Yong-Wook (신용욱) of Korean National Airlines ). It wasn’t Ewha University and it was Kyunggi High School! Kyunggi High Schoo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Ewha Women University were top billing those days. High school have open schools nowadays, but the old way still stand. Seoul National University/Ewha Women University are still considered top schools.)

Korean National Airlines (KNA) was the first (commercial cargo and passenger) air carrier in Korea. Established in 1946 and incorporated in 1948 in South Korea, and its first official passenger flight was from Seoul to Pusan on October 30, 1948 (which is now Korea’s National Air Day holiday). The carrier was an international carrier – though it was privately owned by its Founding Chairman, Captain Shin Yong-Wook (신용욱).[1] It operated under the brand name Koreanair.[2]

(Korean Air Lines Co., Ltd. (Hangul대한항공RRDaehan Hanggong) (KRX003490), operating as Korean Air, is the largest airline and flag carrier of South Korea based on fleet size, international destinations and international flights. The airline’s global headquarters are located in SeoulRepublic of Korea. Korean Air was founded as Korean National Airlines in 1946. After several years of service and expansion, the airline was fully privatized in 1969.)

https://en.wikipedia.org/wiki/Korean_National_Airlines  

 

Articles about my Grandfather

Written by my Mom… 🙂 (Korean, sorry folks.)

2004. 12. 8. 15:08

복사https://blog.naver.com/mbmin/60008264442

 
 

항공의 개척자      신/용/욱
 
우리나라 민간항공의 선구자 故 신용욱(愼鏞頊). 그는 황무지나 다름없었던 우리나라 항공업계에 생애를 바쳐 초석을 마련한 개척자였다.
또한 해방후 처음으로 민간항공사인 대한민국 항공사(KNA)를 세운 인물이다.
그러나 KNA의 도산과 국회의원선거 낙선 등으로 비극적인 생을 마감해야 했다.
 
◇ 출생과 생애 (1)
신용욱은 1901년 고창군 흥덕면 사천리 내사마을에서 광해군때 좌의정을 지낸 신수근을 중시조로 하는 거창(居昌) 신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그가 보통학교를 졸업할 무렵, 우리나라 최초의 독일 유학생인 신용식을 비롯 일본 중국 등지에 이미 6명의 유학생을 보낼 정도로 개화가 일렀다.
그는 흥덕보통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올라가 휘문고보를 졸업했다. 그가 서울로 유학을 간 것이나 비행사가 되려는 꿈을 갖게 된 것도 일찍 깨친 집안의 영향이라 볼수 있다.
더욱이 신용욱은 어려서부터 개성이 강하고 남에게 지기 싫어하여 한 번 마음먹은 일은 꼭 해내고야 말았다. 그러한 성격은 그가 딸하나 없는 외아들인데도 가정을 박차고 나서 대담하게도 위험천만한 개척기의 항공분야에 뛰어들게 하였다.
 
[항공의 개척자] [발자취] [선생의 가계]
 
신용욱 연보
 
▲ 1901년 고창군 흥덕면 사천리에서 출생

▲ 흥덕보통학교와 휘문고보 졸업
▲ 1922년 일본 오꾸리(小栗)비행학교 졸업
▲일본 도오아(東亞)항공전문학교 졸업
▲ 1933년 미국 실라헬리콥터학교 조종과 졸업
▲ 1936년 조선항공사업주식회사 설립
▲ 1942년 조선항공업주식회사 설립
▲ 1945년 대한민국항공사(KNA) 창립
▲ 1950년 제2대 민의원 당선
▲ 1953년 동양인 최초로 3천시간 무사고 비행기록
▲ 1954년 제3대 민의원 당선
▲ 1958년 KNA 여객기 납북
▲ 1962년 서울 여의도에서 자살

◇ 출생과 생애 (2)

1922년 스물 두 살의 청년 신용욱은 일본 오꾸리(小栗) 비행학교를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인 안창남(安昌男·900~1930) 보다 1년 늦게 마치고 1등 조종사 면허를 얻었다. 이때 부터 그의 명성은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어 그는 도오아(東亞)항공전문학교를 졸업했다. 

하지만 신용욱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일본보다 훨씬 앞서 있는 서구의 항공기술을 익히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 갔다. 그리고 1933년 미국에서도 권위를 자랑하는 「실라」헬리콥터학교 조종과를 졸업, 동양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국제조종사가 되었다.

그는 귀국후 조선비행학교 교장을 거쳐 항공사를 직접 설립, 사장이 되었다.

해방되던 1945년에는 대한민국항공사(KNA)를 세웠으며 정계에도 투신, 2대와 3대 민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그러나 KNA의 납북과 4·19, 5·16등 정치적 변혁이 휘몰아치면서 4대 민의원 낙선등 정신적 경제적 어려움까지 겹쳤다.
결국 그는 1962년 여의도 공항을 눈앞에 둔 한강하류에서 60세의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말았다.

◇ 민간항공 개척
1925년 고창군 신림면 평월리 공터주변에는 정읍과 고창 부안등 인근에서 새벽밥을 먹고 나온 구경꾼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난생 처음 비행기를 보기 위해서 였다.
한낮쯤 쌍날개에 프로펠러가 달린 경비행기가 일대를 몇바퀴 돌면서 빈터에 사뿐히 내려 앉았다. 비행기에는 흥덕사람 신용욱이 타고 있었다. 구경꾼들은 흥분했고 흥분은 곧 만세소리로 바뀌었다. 「떴다 보아라 안창남!」의 재현이었다.
비행장도 아닌 공터에서의 무사착륙은 신용욱의 담력과 투지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일제치하에서 눌려있던 민족의 자긍심이 살아있음을 보여준 쾌거였다.
미국에서 선진 항공기술을 익힌 신용욱은 사재를 털어 서울 여의도에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학교를 설립하였다. 1936년의 조선항공사업주식회사, 1942년의 조선항공업주식회사 설립 등은 모두 항공분야에 대한 그의 탁월한 안목과 비전을 담고 있다. 그가 세운 이들 회사는 전쟁준비에 광분하던 일제의 군수공장으로 변하고 말았다.
신용욱은 8·15 해방과 더불어 평생의 과업인 KNA를 창립, 비로소 자신의 뜻을 펼치게 된다. 이러한 민간항공의 개척은 우리나라 항공사에 최초의 민간항공 개발이라는 커다란 족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자신도 온갖 심혈을 기울여 이 사업을 키워 나감으로써 일등비행사로 부터 탁월한 항공사업인으로 전환의 계기를 맞은 것이다.
1953년에는 비행시간 3천 시간을 돌파해 미국 민간항공연맹으로 부터 무사고 비행기록 표창을 받은 최초의 동양인이 되었다. 1956년에는 처음으로 한미(韓美)항공협정 체결을 성공시켜 미국 보잉사로 부터 1백만 달러의 차관을 얻어 내는등 정력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KNA는 보람과 함께 그에게 많은 출혈과 희생을 요구했다. 1958년2월16일 돌이킬수 없는 비운이 닥치고 말았다. KNA소속 여객기 창랑호가 북한간첩들에 의해 공중 납치되어 버린 것이다. 이와 함께 속초에서 여객기가 불시착 하는등 잇달은 사고와 노선 결항이 잦아 KNA는 여객을 외국항공에 빼앗기는등 중대한 타격을 받고 마침내 파산 직전에 몰리고 만다.

◇ 정치활동과 비극적 삶
신용욱은 이승만 대통령의 양아들이라고 소문이 날만큼 신임이 두터웠다.

이러한 총애를 바탕으로 1950년5월, 2대 민의원 선거에서 자유당의 공천을 받아 한민당 제헌의원 백관수(白寬洙)를 물리치고 고창 을(乙)지구에서 당선되었다. 이어 3대에도 당선되어 고창지역에 도로개설과 저수지 축조등 많은 지역사업을 벌였다. 하지만 4대 때(1958년)는 민주당 공천을 받아 출마한 홍순희씨에게, 5대 때(1960년)는 무소속 김상흠씨에게 잇달아 패한데다 KNA의 도산으로 결국 파국을 맞고 만다./ 조상진 기자.

Copyright 1999, 전북일보 All rights reserved.

https://blog.naver.com/mbmin/60008264442 

 

On the Korea Aviation Day, 2017

Korea observes Aviation Day on October 30. Why? How? Some may question why and how Aviation Day was set for October 30 in the Korean calendar. The Korean Transportation Ministry made the decision to set up the Korean Aviation Day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aviation industry and technology for commercial flight and space science exploration. The Ministry chose October 30, the first day a commercial flight took place in Korea from Seoul to Busan in 1948 after the first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It was KNA, the Korean National Airline’s first passenger flight in the First Republic.

Today, everybody recognizes KAL, Korean Air Line, one of the world-class airlines. But only a few may remember KNA-the Korean National Airline started by Captain Shinn Yong-wook. It was the first Korean airline in the country’s history. It was a small airline company basically flying between Seoul and Busan. Captain Shinn was a First-class pilot who had completed the Oguri Aviation School training program in Japan and studied further at Japan Doah Aviation College in Tokyo in the 1920s and then flew over the sea between Japan and Korea (now known as Korea Strait) in 1925 by his own airplane, Salmson 2, French bi-plane aircraft. His first flight over the skies of Seoul in 1925 after taking off from the Yongsan runway was hailed by all Korean people. He was a proud pilot all his life. His sense of pride as the first-class pilot endured all the difficulties he confronted during his lifetime.

In the same year 1925, Captain Shinn founded the first Chosun (Korean) aviation school and trained Chosun pilots. In 1931, he started the Chosun Airline Company, his own airline company to transport passengers, airmails and packages from Seoul to major cities in all Korean Peninsula. Once he helped fishing boats find a school of sardine massively migrating in the East Sea. He also used his small airplane and a helicopter to spread pesticides and fertilizer on rice paddies for his hometown farmers. He was a popular pilot elected twice for the Kochang district National Assembly seat in the Republic of Korea.

He was one of the main construction crews to build major airports in the nation and runways, aircraft hangars and safety facilities. At the time, Korea was not divided, even though it was under the Japanese rule. The runways were not as long as we see today. They were green flat meadows.

Shinn Yong-Wook was born to a landlord gentry in Kochang, North Jolla province in 1901. He graduated Wheemoon High School and then went to an aviation school in Tokyo, Japan. He met Ahn Chang-nam, well known in Korea as the first pilot in the Korean history, at Wheemoon High School. Since the Wright Brothers flew for the first time for a few minutes in human history in 1903 in the North Carolina beach, flying was a dream to many dreamful boys.

Ahn and Shinn were two boys who dreamed of flying the vast blue sky. Ahn was one year older than Shinn. Ahn went to the Oguri aviation school in Tokyo before Shinn. They trained together. Ahn earned his 2nd-class pilot license and returned to Korea.
Shinn completed his 1st-class pilot training earning the first Korean 1st-class pilot license. Many Japanese pilots envied him then. And he studied airplanes more scientifically at the Doah Aviation College. He then returned to Korea, home country, piloting his own small wooden airplane, Salmson 2, that he purchased with his affluent family support. He became a sensational young pilot when he flew the plane over the sea between Japan and Korea (the Korea Strait) to come home in 1925.

His ambition to operate his aviation school and airline company would have had to be approv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uring the 1930s, Japan controlled Manchuria and established its puppet regime there. Japan invaded the mainland China. I am sure that he and his company airplanes were commandeered by the Japanese to the Pacific War in the late 1930s and early 1940s. Under the circumstances, Shinn would not have been given a choice to be free from Japan’s war campaigns. Here, some may today be critical about his acts of collaborations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On this Korea Aviation Day, I am not trying to review Captain Shinn and his life with KNA in detail. At least, however, I think that his lif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r is today being unfairly tainted as a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I can sympathize how hard it would have been at the time for him to continuously strive for his dreams to fly, compromising his good conscience. Life under the Japanese rule could not be easy to him and in fact to all Chosen (Korean) people. Some willingly cooperated with the colonial ruler and some others reluctantly did to survive against their good conscience.

Captain Shinn was not anyone but a person wanting to be an airplane pilot. He just wanted to live his life as a pilot and continued to keep the same dream he had as a teenage boy to his death by suicide at 59 following bankruptcy in 1961. In 1958, his passenger airplane, Changrang, was hijacked to North Korea and another airplane’s wing was broken at unexpected strong wind from the sea on its landing at Sooyoung airport, Busan. He could not recover from these unexpected traumatic experiences. He chose his honorable exit from life. His funeral ceremony was conducted by the Korean Enterprisers’ Association. Many prominent political leaders and journalists delivered touching eulogies for their farewell.

General Park Chung-hee, as a coup leader, ordered him to pay back the government loan to him. He committed suicide by drowning himself in the Han River, looking at his airplanes on the Yoido runway. He built the runways when he started his life as a pilot in the 1920s. I feel sympathy for him. I could understand why he had to collaborate, which would have been just to keep up his dreams to fly.

I want to place Captain Shinn next to the Wright Brothers, Charles Lindbergh, and Howard Hughes in the aviation history. I hope that critics today do not irresponsibly conclude on the issue of his collaborations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those days. I also hope that people today remember the invaluable pioneering contributions that Captain Shinn mad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ivil aviation.

More than sev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liberation… Debating and continuously and indiscriminately “killing” the so-called pro-Japanese collaborators is a big waste of our precious time and also not constructive for the future of our country, Korea As we commemorate the Korea Aviation Day on October 30, let us look back our remarkable aviation history from the KNA, the first commercial airline in Korea to the now world-class KAL and Asiana. The first part of history has been a stepping stone to the second stage of history and further progress. Let us see the future under the bright blue sky.

Yearn Hong Choi Dr. Choi is a Washington-based poet and writer.
(The Korean Times / 한국일보 Korea Aviation Day 20)

October 1, 1957

October 1, 1957

 

February 1, 1961
BL
February 1, 196

 

Chosen.com

[격동의 역사와 함께한 조선일보 90년] 1934년 수해(水害)때 국내 첫 항공취재 벽지(僻地) 신문 수송에도 전용기 띄워

입력 : 2010.01.22 06:24

1934년 7월 21일 영호남 지역에 폭우가 쏟아져 경부선 호남선 경남선 마산선 등 철도가 끊어질 정도의 큰 수해(水害)를 입었다. 조선일보는 즉각 구호금품 모집에 나서는 한편 비행기를 이용한 취재 및 지원활동에 나섰다. 당시 화제가 된 취재용 비행기는 프랑스제 살무손 2A2형으로 일본으로부터 대절한 것이었다. 조종사는 안창남의 일본 비행학교 1년 후배인 신용욱(愼鏞頊)이었다. 당시 33세이던 신용욱은 일본의 오쿠리(小栗)비행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해 1933년 실라헬리콥터학교 조종과를 졸업하고 막 귀국한 비행분야의 개척자였다.

“본사는 만난(萬難)을 무릅쓰고 보도의 천직을 다하기 위해 거대한 비용을 들여 최후의 수단인 비행기를 출동시키기로 결의했다.”

언론사상 최초로 조선일보가 구입한 취재전용 비행기 앞에 선 간부들. 왼쪽부터 편 집국장 김형원, 사회부장 이상호, 신용욱 비행사, 사장 방응모. /조선일보 DB

당시 조선일보의 사고(社告) 일부다. 사상 최초의 비행기 취재라는 조선일보의 기록은 재력을 갖춘 방응모의 조선일보 인수와 결단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신용욱이 모는 비행기에 탄 조선일보 촬영반은 현장상황을 공중에서 영사기로 담아 7월 26일 기록영화 형태로 서울시민에게 수재현장상황을 생생하게 전했다. 그로 인해 구호품은 조선일보에 물밀듯이 밀려들었다. 비행기는 취재뿐만 아니라 수재로 고립된 이재민들의 구호활동에도 한몫을 했다. 구호품들을 싣고 가 공중에서 투하한 것이다.

조종사 신용욱은 그 후 조선일보 8월 11일자부터 14일자까지 4회에 걸쳐 ‘삼남(三南) 재지(災地) 조사(調査) 비행기(飛行記)’를 연재해 우리 역사상 최초로 이뤄진 항공취재의 소감을 기록으로 남겼다. 그리고 조선일보사는 1935년 신년호를 통해 살무손의 구입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서울 상공에서 시험비행을 벌였다. 신문사 최초로 전용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후 조선일보는 장거리 오지에 대한 신문수송에도 살무손을 투입했다. 1935년 10월 23일 조선일보 마크가 선명한 살무손의 신문수송을 위한 첫 비행을 조선일보는 이렇게 보도했다.

“12시 45분 대구를 비롯해 영천 경주 포항 울산 각지로 가는 신문의 싣기를 마치자 신용욱 비행사는 늠름하게 올라탔다. 1시 정각 본사 방 사장과 직원의 전송 속에 조선 신문 사상 새 이정표를 기록할 본사 비행기는 이 땅에 밝아올 새 문화의 전령답게 서서히 활주로를 이륙했다.”

한편 신용욱은 이후 조선비행학교장을 거쳐 1936년 조선항공사업주식회사를 설립해 사장으로 취임하는 등 항공산업에서 종사하다가 광복 후 국내 최초의 민간항공사인 대한민국항공사(KNA)를 설립하고 정계에 투신해 2·3대 의원을 지낸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1/21/2010012101878.html

—-
‘KNA’에 해당되는 글 1건
[방짜, 2009/08/16 06:01, 이정환의 암니옴니]

Photo 방짜

1부. 안창남은 지고 조선일보 비행기는 훨훨

두 사람이 악수하고 있습니다. 비행기에 붙어 있는 마크 일부분 ‘조선(朝鮮)’이 보입니다. <조선일보> 자매지 월간 <조광>에 실렸던 사진입니다. 또한 지금도 조선일보가 대놓고 자랑하는 ‘나름 역사적인 장면’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에서 처음으로 신문 공륜(空輪)을 한 본사에서는 앞으로 이에 주력하야 뉴스 보도를 신속히 하고자 한다. 사진은 (右上) 조선일보를 적재하고 여의도를 출발하기 전 본사 사장 방응모 선생이 신용욱 비행사와 악수하는 광경.” <1935년 월간 조광>

이 광경은 조선닷컴의 조선일보 연혁에도 등장합니다. 비행기 구입 일자는 1935년 1월 1일. 취재 및 신문 배달에 이용했다고 하는군요. 특히 혹한으로 교통이 두절됐을 때 그 효과를 톡톡히 본 모양입니다. 그러면서 ‘최초로 전용 비행기를 도입한 언론사는 바로 우리’라고 자랑하고 있습니다.

쉽게 내주지 않았을 하늘을 왜 조선일보에게?

그런데 과연 이게 자랑할 만한 일인가 싶습니다. 어느 날 ‘변심’해서 총독부 건물에 폭탄을 똑 떨어뜨릴 수도 있는 거잖아요. 또 만주사변이 1931년, 중일전쟁이 1937년 일어났습니다. 전쟁 와중에 일본군 배치나 이동 정보가 고스란히 적군에게 넘어갈 수도 있는 일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당연히 아무에게나 하늘을 내주지 않았을 겁니다. 따라서 <조선>이 언론사로서는 최초로 전용비행기를 도입했다는 사실은, 뒤집어 보면, 그만큼 <조선>에 대한 총독부 신뢰가 단단했다는 말이 됩니다. 사실상 엄청난 특혜였던 셈입니다.

역사적으로 봐도 ‘자랑거리’는 아닌 듯 합니다. 우리나라 항공역사를 보면 “민간 항공 사업의 맹아 당시의 한반도는 일본의 식민지였으므로 하늘 역시 일본의 군국주의 확대와 대륙 침략의 가교 역할을 수행해야 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한국 최초의 비행사가 떠올랐습니다. 대한독립공명단을 조직하고, 한국인 비행사관학교 설립을 추진했고, 일본 은행의 현금수송 차량을 탈취하는 거사를 벌였던 안창남. 편하게 살 수 있는 길을 버리고 독립운동에 나섰던 안창남. 이제 저 사진에 등장하는 조종사가 궁금해지지 않습니까. 신용욱, 그는 누구일까요.

오쿠리 비행학교 시절의 안창남 Photo koreanhistory.org

2부. <조선> 비행사는 친일로’건국항공사 사장’

우선 <조선일보>를 살펴봤습니다. 언론사 최초로 전용 비행기를 도입했다고 자랑하고 있으니, 조종사에 대한 자랑도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헌데 없습니다. 보도 내용을 검색해봐도 달랑 한 줄입니다. 공교롭게도 모두 ‘진성호 기자’가 썼더군요.

“당시 조종사는 한국 최초의 민간항공사 KNA를 설립했던 신용욱씨(2001년 3월 7일자)”라거나 “당시 조종사는 한국민간항공 개척자인 신용욱씨(2000년 2월 18일자)”정도가 고작입니다. 이상한 일입니다. 그 이유의 일단은 2003년 정몽헌 회장 자살 보도에서 짐작할 수 있습니다.

기업인들 자살 사례를 소개하면서 “대기업 창업주가 자살한 것은 지난 1961년 대한항공 전신인 대한국민항공사(KNA)의 창업주 신용욱(愼鏞頊) 전 사장이 처음이었다(이 기사는 다른 기자가 썼습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자살 이유는 1961년 8월 28일자 기사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부정축재자 처리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형무소에서 지난 12일 출감한 신용욱씨는 거액의 빚 이외에도 직원들 봉급 3개월 분이 밀려 있고 거기에 부정외환 취득조로 83만 달러가 부과되어 있어 회사 운영은 파산 지경에 이르러 극도로 비관해왔음이 드러났다.”

1961년 8월 28일자 조선일보 PDF

조선 청년에게 비행술 가르쳐 전쟁터로 내보낸 신용욱

일단 이런 생각이 듭니다. 고인이 명예롭지 못한 사건에 연루됐고 자살을 선택했기 때문에 자세한 소개는 피하는 모양이다, 허나 <조선> 안에서만 볼 때 그렇습니다. <조선>을 벗어나니 ‘진짜 이유’가 나타납니다. 화려한 부일 전력을 갖고 있는 인물이더군요.

이런, 조선 청년들에게 비행술을 가르쳐 2차 세계대전에 출정시켰다고 합니다. 2005년 SBS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방영됐던 ‘야스쿠니의 신이 된 소년 특공대원’이 생각납니다. 가미가제 특공대원으로 뽑혔던 17세 소년은 누구에게 조종을 배웠을까. 문득 궁금해집니다.

어쨌든 신용욱의 부일 전력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조선항공공업회사를 만들어 비행기를 생산하여 일본군에 헌납하는가 하면, 일본 군인 수송을 맡았다고도 합니다. 광복 직후 일본군 비행기 수 백대를 헐값으로 구입하여 고철로 판매, 막대한 이익을 거뒀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이 돈을 밑천 삼아 1946년 대한국제항공사를 설립합니다. 1948년에는 앞서 <조선> 보도에 언급됐던 대한항공의 전신인 대한국민항공사(KNA)를 설립합니다. 말 그대로 부일로 ‘건국항공사’ 사장 자리에 오른 셈입니다. 1949년 반민특위에 체포됐지만, 곧 풀려나고 맙니다.

‘반민특위 재발 방지 차원’에서 정치에도 눈을 돌린 모양입니다. 이듬해 고향인 고창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2대 국회의원에 당선, 1954년 ‘자유당’ 말을 타고 또다시 국회의원 뺏지를 답니다. 쓰다보니 화가 치밀어 잠시 …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란 점이 다소 ‘위안’이 되긴 합니다만.

Photo 조선닷컴

할 말은 하는 신문의 진면목 보여주는 사진

<조선>이 조종사까지 ‘굳이’ 자랑하지 않는 이유가 뚜렷해집니다. 화려한 부일 전력으로 ‘건국 항공사’ 사장 자리에 오른 신용욱과 사진 속에서 다소 뻘쭘하게 보이는 조종사가 동일화되는 순간, 언론사 최초로 전용 비행기를 도입한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그것은 ‘신뢰’였습니다. 총독부가 <조선>을 믿지 않았다면 하늘을 허락했을까요. 그만큼 믿음이 있으니 최초로 전용비행기를 허하는 ‘특혜’를 베풀었겠지요. 또한 그런 믿음에 충실히 따를만한 조종사가 필요했겠지요. 방응모가 ‘안창남’에게 조종간을 내줬을까요. 왜 신용욱을 믿었는지, 그의 부일전력을 보니 알 수 있군요. 신용욱이었으니 악수를 나눌 수 있었겠지요.

이런 생각이 듭니다. ‘방응모의 조선일보’가 어떤 신문이었는지 이보다 더 잘 보여주는 사진은 없다고 말입니다. 그러니 얼마든지 ‘자랑’하십시오. ‘할 말은 하는 신문’이 어떤 말을 안 하는지 보여주니까. 그래서 부끄러움을 모르는 신문사의 맨 얼굴이 어떤지 알 수 있으니까.

 

My Grandfather, Captain Shin of CEO of Korean National Airlines...

he was a fre@kin badass man!

Fighting!!!

< end… until next time. >

🙂

Richard Min

Innovation, tech startups and fashion startups acceleration, plant-based food (new!) and a whole bunch of life stuff.

Richard Min has 198 posts and counting. See all posts by Richard Min